Home 한국일보 바른교리
바른교리


(130) 이단 연구 시리즈(3) - 이방 종교에서 유래된 로마 카톨릭 - 교황 제도 PDF 인쇄 E-mail
토요일, 13 6월 2009 20:10
바빌론으로부터 퍼져나가 세계 각 곳에서 여러 가지 양상으로 발전된 이방 종교는 세계를 정복한 로마의 우상숭배 종교제도 안으로 흡수되었는데, 그 한 예가 종교의 우두머리인 ‘최고 사제’를 두는 개념이다.

 율리어스 시저가 공식적으로 신비 종교의 최고 사제로 인정된 것은 기원전 63년이었다. 그로부터 모든 로마 황제들은 A.D.376년까지 이 직무를 수행해 왔었다. 그러나 그라티안 황제는 이런 칭호가 우상 숭배의 사상을 담은 것으로 하나님을 모독하는 것임을 알았기에 최고 사제가 되기를 거절했다. 로마 황제가 종교 사제의 직무도...
더 읽기...
 
(129) 이단 연구 시리즈(2) - 이방 종교에서 유래된 로마 카톨릭 - 모자(母子)숭배 사상 PDF 인쇄 E-mail
토요일, 13 6월 2009 20:09
로마 카톨릭은 그 교리와 전통, 여러 가지 관행이 하나같이 비성경적이며 이교도적인 종교이다. 역사는 카톨릭 종교 체제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모자 숭배 사상 자체가 이방 종교에서 유래하였음을 증거하고 있다. 노아의 홍수 후에 사람들은 동쪽으로부터 이동하여 시날 땅에서 평원을 만나 거기에 거하였다(창 11:2). 메소포타미아라 불리는 이 지역은 유프라테스 강과...
더 읽기...
 
(128) 이단 연구 시리즈(1) - 정체를 드러낸 로마 카톨릭 PDF 인쇄 E-mail
토요일, 13 6월 2009 20:08
지난 9월 6일자 ‘LA Times'에는 흥미로운 기사가 실렸다. ’Vatican Declares Catholicism Sole Path to Salvation'(카톨릭교회가 구원의 유일한 길이라고 선언한 바티칸)이라는 제하의 그 기사에는 카멜레온 같은 카톨릭의 두 얼굴이 여실히 드러나 있었다. 지난 몇 십 년 간 카톨릭은 에큐메니칼 운동을 통해 종교 통합 및 기독교 통합 운동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왔다. 그러나 이 기사는...
더 읽기...
 
(127) 일곱 가지 심판은 어떻게 서로 다른가?(3) PDF 인쇄 E-mail
토요일, 13 6월 2009 20:07
5. 유대인의 심판 - 다섯째 심판은 교회가 들림받은 후에 이 땅에 남게 될 유대인들이 당하는 대환란이다. 이 기간 중 그리스도의 몸된 교회는 셋째 하늘의 그리스도의 심판석 앞에서 심판을 받게 된다. 반면 이스라엘 민족은 하나님을 거역한 대가로 대환란이라는 심판을 받게 된다. (복음을 거절하여 들림 받지 못한 온 세상 사람들도 유대 민족과 함께 대환란을 겪는다.)...
더 읽기...
 
(126) 일곱 가지 심판은 어떻게 서로 다른가?(2) PDF 인쇄 E-mail
토요일, 13 6월 2009 20:05
3. 그리스도의 심판석 - 두 번째로 언급한 심판(죄의 자백)이 구원받은 자들이 하나님의 아들로서 받는 심판이라면, 이 세 번째 심판은 “종”으로서 받는 심판을 말한다. 그리스도인은 살았을 때는 매일 아들로서 심판받지만, 죽어서는 주 예수 그리스도와 대면하여 종으로서 심판받게 될 것이다. “이는 우리 모두가 반드시 그리스도의 심판석 앞에 나아가서, 선이든지...
더 읽기...
 
«시작이전12345678910다음»

페이지 6 의 31
배너
Copyright © 2025 LA Bible Baptist Church International. All Rights Reserved.
Joomla! 는 GNU/GPL 라이센스로 배포되는 자유소프트웨어 입니다.